본문 바로가기

부자되는 IPO 상장 뉴스/국내

카카오뱅크 VS 카카오페이 상장, 기업 분석 및 주가 전망

728x90

카카오뱅크 VS 카카오페이의 차이점은 

카카오그룹의 대표 금융기업인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가 IPO(기업공개)를 합니다.

이들 기업의 상장 예정일은 오는 8월 5일(카카오뱅크)과 12일(카카오페이)로 불과 일주일 차이인데요.

같은 그룹 계열사가 거의 동시에 IPO를 진행하는 일이 드물다보니 시장의 관심은 매우 뜨겁습니다.

특히 두 기업 모두 금융업을 영위하고 있는데다, 조단위급 대어인만큼 비교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요.

힘겨루기가 예상되는 가운데 상장을 앞둔 두 기업의 차이점을 알아보았습니다. 

1. '카카오뱅크' VS '카카오페이' 어떤 기업?

▷ 국내2호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

먼저 카카오뱅크는 2016년 1월 설립된 국내 2호 인터넷전문은행이며, 정식 영업을 시작한 것은 2017년 7월입니다. 

카카오뱅크는 '카카오'라는 브랜드를 앞세워 26주 적금, 모임통장 서비스, 저금통, 10대 고객을 겨낭한 카카오뱅크 미니(mini) 등 기존 은행에서 찾기 힘든 상품과 서비스로 차별화를 꾀했습니다. 이같은 노력은 폭발적인 성장세로 이어왔는데요. 올해 5월 말 기준 고객 수는 1653만명에 달합니다.

2019년 흑자전환한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영업수익은 8042억원, 순이익은 1136억원입니다. 올해 1분기에는 영업수익 2249억원, 순이익 467억원을 기록했는데요.

주요 수입원은 대출이자입니다. 올해 1분기 카카오뱅크의 영업수익 가운데 이자이익은 1655억원으로, 73.6%를 차지했습니다. 개인신용대출과 전월세보증금대출 중심으로 성장해온 카카오뱅크는 상장 이후 주택담보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 국내최초 간편결제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는 카카오가 2014년 9월 국내 최초 간편결제 서비스를 론칭하며 시작됐습니다. 2017년 4월 카카오 핀테크사업부를 분사하며 독립 법인으로 출범했는데요.

현재까지 누적 가입자 수는 3600만명, 연간 거래액은 지난해 기준 67조원에 달합니다. 올해 1분기 거래액은 22조8000억원입니다. 주 수입원은 송금 및 온·오프라인 결제를 포함하는 결제 사업 부문으로 지난해 매출액의 72%를 차지합니다.

지불결제 관련 서비스로 기반을 다진 카카오페이는 투자·보험·대출·자산관리 등 금융 서비스를 잇따라 출시해왔습니다. 올해는 국내외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 출시와 디지털 손해보험사 설립, 마이데이터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카카오페이는 올해 1분기 매출액 1071억원, 영업이익 108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첫 흑자를 달성했는데요. 당기순이익은 120억원을 거뒀습니다.

2. 시총 규모와 비교기업은 어디?

▷ 카카오뱅크 비교기업은 글로벌 인터넷 은행들

카카오뱅크가 제시한 희망 공모가는 3만3000~3만9000으로, 이를 기준으로 한 시가총액은 15조6783억~18조5289억원인데요. 할인율을 적용하기 전 평가 시가총액은 22조9610억원입니다.

평가 시총은 국내 금융주 시총 1위인 KB금융(22조6615억원)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공모가 기준 시총으로 보더라도 KB금융, 신한지주(20조7931억원)에 이어 세번째로 높습니다.

만약 공모가가 상단에서 결정되고 상장일 '따상'(공모가 2배로 시초가 형성 이후 상한가 직행)에 성공한다면 시총은 48조원에 육박하게 됩니다.

카카오뱅크가 평가방법으로 선정한 지표는 PBR(주가순자산비율)인데요. 전통적으로 은행을 평가할 때 활용하는 지표입니다.

비교기업으로는 글로벌 인터넷 은행들이 거론되는데요. △미국 로켓컴퍼니(PBR 4.6배) △브라질 팍세그루(8.8배) △러시아 TCS그룹 홀딩(8.0배), 스웨덴 노르드넷 AB(7.6배) 등입니다. 카카오뱅크는 이들 비교기업들의 평균 거래배수인 7.3배를 적용했습니다.

 

▷ 카카오페이 비교기업은 페이팔, 스퀘어, 파크세구로

카카오페이의 공모 희망밴드는 6만3000~9만6000원, 공모가 기준 시총은 8조2131억~12조5152억원입니다. 평가 시가총액을 살펴보면 16조6192억원입니다. 만약 따상을 달성할 경우 카카오페이의 시총은 31조원을 넘어서게 되는데요.

카카오페이는 평가지표는 '성장률 조정 EV/Sales(매출 대비 기업가치)'입니다. 일반적으로 EV/Sales는 해당 기업가치가 매출액의 몇 배인지 나타내는 지표로, 경영실적이 적자인 경우 이용됩니다. 또 플랫폼 사업 초기임을 고려해 성장률을 반영했습니다.

비교기업은 △미국 간편결제 업체 페이팔홀딩스(81.6배) △핀테크 솔루션 업체 스퀘어(6.1배) △브라질 핀테크 플랫폼 업체 파그세구로(46.5배) 등 3곳입니다. 카카오페이는 이들 배수를 평균 계산한 44.7배를 적용했습니다.

공모가 산정 과정에서 비교 대상 기업 선정 논란은 두 곳 모두 피하기는 어려워 보이는데요. 국내 기업을 배제해 규제환경을 반영하지 못했고, 사업 이력과 규모 면에서 이미 입지를 탄탄히 굳힌 선진 증시 상장사들을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3. 카카오뱅크 공모가 비싸다?

카카오뱅크의 공모가를 두고서는 금융투자업계의 의견이 엇갈립니다. 

▷ 카카오뱅크 공모가 비싸다는 의견

시총 40조원에 육박하던 장외가에 비하면 최대 18조원이라는 몸값은 낮지만 높은 프리미엄을 반영했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통상 금융주의 PBR이 낮은 이유는 은행 산업은 당국의 규제가 많아 성장성 및 확장성이 제한되기 때문인데요. 아무리 카카오뱅크라 하더라도 규제로부터는 자유로울 수 없는 만큼 이를 감안해야 할 것입니다. 

실제로 국내 주요 금융주의 PBR은 대부분 1배에도 못 미치는 상황입니다. 지난해 말 기준 KB금융의 PBR는 0.41배, 신한지주 (0.37배), 하나금융지주(0.33배), 우리금융지주(0.30배)에 불과합니다.

순이익 규모를 살펴보더라도 4대지주와 차이가 큰데요. 지난해 카카오뱅크의 순이익은 113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KB금융(3조5023억원)·신한지주(3조4146억원)·하나금융지주(2조6849억원)·우리금융지주(1조5152억원) 등과 비교하면 10~30배 넘게 차이가 납니다.

▷ 카카오뱅크 공모가 적정하다는 의견

하지만 카카오뱅크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고려하면 밸류에이션이 적정하다는 견해도 있는데요. 실제로 KB금융이나 신한지주 등은 카카오뱅크의 1차 비교회사로 선정됐지만 최종 기업 선정에서 제외됐습니다. 최근 3년간 CAGR(연평균 성장률)이 15% 이상인 '재무 유사성'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현 추세의 신규고객 유입규모와 자산 고성장세가 향후 5~10년간 유지된다면 카카오뱅크의 총자산은 오는 2026년 100조원, 2030년 20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공모가 이상의 높은 가치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기존 은행권과 차별화된 사업모델 구축의 성공여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향후 중금리대출 취급확대 과정에서 차별적 신용평가 모델 개발 및 대손관리 역량 검증 또한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투자자들은 두 기업 중에서 어느 기업의 성장성이 더 클지 궁금할텐데요. 증권가의 의견을 들어보았습니다. 바로 아래를 확인하세요!

4. 카카오뱅크 vs 카카오페이, 주가는 누가 더 많이 오를까?

▷PBR, 카카오페이가 카카오뱅크 2배 수준

외형으로만 보면 카뱅이 더 커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공모가 상단을 기준으로 상장 후 주가순자산배율(P/B)을 따지면 카페가 6.8배로, 카뱅의 꼭 2배입니다. 시총 기준 은행지주 상위 3곳(KB, 신한, 하나)의 P/B 평균이 0.48배인데 증권사 상위 3곳(미래에셋, 한국금융, 키움)의 0.97배의 꼭 절반인 것과 같습니다. 손해보험 상위 3사(삼성, DB, 메리츠) 평균은 0.82배입니다.

카카오페이 결제 부문, 해외 확장 가능

카카오페이의 사업 분야는 다양합니다. 특히 결제 부문은 해외로의 영역 확장도 가능하죠. 증권 부문도 자본시장 활황으로 실적 전망은 어둡지 않습니다. 다만 보험은 이제 막 시장하는 단계여서 당분간 비용 부담이 더 클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공교롭게도 카카오뱅크의 미래도 비은행 부분에 달렸는데요. 이자이익 부문에서는 아무리 수익이 많이 나도 경쟁 은행의 몇 배가 되기는 어렵습니다. 비대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수수료수익이 중요한데요. 다행히 카뱅의 수수료수익 증가율은 이자수익 증가율을 크게 앞지르고 있습니다. 덕분에 1분기 영업수익 대비 세전 이익률은 카뱅이 24%로, 카페의 18%를 크게 앞섭니다

▷ 협업 시 동반상승 구조

가장 중요한 것은 카뱅과 카페의 시너지입니다. 카페는 규제 면에서 카뱅보다 자유롭지만 은행이라는 소비자 접점을 갖지 못합니다. 카뱅은 강력한 소비자 접점을 갖고 있지만 규제 부담을 감수해야 합니다.

그래서 둘의 시너지가 중요한데요. 공모가 기준으로는 30조원이지만 협업이 잘 이뤄진다면 60조원으로 불어날 수 있습니다. 개인금융은 물론 상업금융도 비대면화되고 있어 성장할 시장은 무궁무진해보입니다.

5. 카카오페이의 성장 여력은?

카카오페이의 추가 성장 여력이 높다는 평가가 우세합니다. 교보증권은 카카오페이의 기업가치를 18조2000억원으로, 한국투자증권은 21조9000원으로 제시했습니다.

해당 기업가치의 기준은 비슷한 핀테크 업체 토스의 투자 유치 규모인데요.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는 지난달 4600억원의 투자 유치를 완료하며 8조20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 카카오페이 가입자수는 3600만명, 토스는 2000만명

토스의 지난해 매출액은 3897억원, 가입자 수는 지난달 말 기준 2000만명입니다. 지난해 매출액은 카카오페이(2844억원)가 낮지만, 가입자 수가 3600만명으로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점을 고려할 때 성장 잠재력이 높다는 분석입니다.

은행의 NIM(순이자마진) 비즈니스는 자본을 계속 투입해야 같은 마진율 하에서 이익이 늘어나는 구조인데요. 그러나 카카오페이는 IT(정보기술) 기반이라 매출이 늘면 비용은 고정, 이익이 급격히 늘어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카카오페이에 대한 부정적 의견

증권신고서에 기재한 비교기업과의 실적 차이는 고평가 논란을 불러올 여지가 있습니다. 비교기업인 페이팔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60억3300만달러(6조8534원)이고, 스퀘어의 매출도 5조7000억원 수준인데요. 카카오페이 매출액(1071억원)의 53~64배에 달하는 수준입니다.

페이팔의 경우 전 세계 200여 개국에서 25개 통화로 사용 가능한 글로벌 기업이지만, 카카오페이의 경우 모회사 카카오와 마찬가지로 내수에 치중돼 있다는 지적을 받습니다. 앞으로 카카오페이가 얼마나 해외 영역으로 확장이 가능할지 궁금한데요, 그에 따라 성장성을 좌우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1.07.06 - 카카오뱅크·카카오페이·크래프톤, 공모주 일반 청약 및 상장일정

 

카카오뱅크·카카오페이·크래프톤, 공모주 일반 청약 및 상장일정

카카오뱅크·카카오페이·크래프톤, '100조' 공모주 슈퍼위크 시작 카카오뱅크·카카오페이·크래프톤 등이 코스피 상장을 위한 공모주 일반 청약에 돌입합니다. 청약 증거금 100조원 이상이 움직

jasmine2020.tistory.com

반응형